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42

한자 음운 호환 한자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형태는 형성(形聲)문자 이다. 형성문자는 모양과 소리를 합쳐서 만들어낸 글자이다. 예를 들어 功(공 공)은 소리를 담당하는 공쟁이 공(工)과 뜻을 나타내는 힘 력(力)이 결합하여 힘써 이루어낸 일의 결과인 공을 뜻하는 글자가 되었다. 이와 같은 경.. 2019. 1. 21.
점토질 토양, 왕겨로 해결 왕겨를 사용하여 논흙과 같은 점토질 토양을 폭신폭신한 흙으로 개량 [기사 원문] http://dnong.co.kr/sub21/sub1_1.php?smenu=sub5&stitle=subtitle5_1&page=&s_cd=4000&s_ym=201605&ar_id=40002011110045&ar_catg=D005000000 2019. 1. 21.
부자와 가난한자의 차이점 30가지 1. 가난한 사람은 푼돈을 모으고 부자는 큰 돈을 굴린다 2. 가난한 사람은 열심히만 일하고 부자는 아이디어를 활용한다 3. 가난한 사람은 부자가 되는 것을 특권이라 여기고 부자는 권리라고 생각한다 4. 가난한 사람은 부정적이고 부자는 긍정적이다 5. 가난한 사람은 부자들을 천박하다.. 2019. 1. 18.
한문 어조사 용법 ◈한자 허자(虛字 : 어조사)의 쓰임◈ 어조사의 용법을 알지 못하면 한문을 제대로 해석할 수 없다. 어조사로 쓰이는 글자들은 자전을 찾아봐도 제대로 나와있지 않아서 그 용법을 예문을 통해 별도로 잘 익혀두어야 한다. 원문 출처: http://blog.daum.net/wordair/10849083 일부 첨삭 및 교정을 하였.. 2019. 1. 7.
겨울 콩배나무 사방골에서 겨울을 나고있는 #콩배나무 입니다. #콩배나무는 #아가배나무 라고도 부릅니다. 아그배라고 부르는 나무와 흔히들 혼동하는데 아그배라고 불리는 나무는 꽃사과에 가까운 나무이고 아가배는 배나무와 가까운 나무입니다. 열매가 콩알만해서 콩배라고 부르는데 나무의 자람.. 2019. 1. 5.
도롱뇽 한겨울 논에서 만난 도롱뇽 입니다. 미꾸라지 잡으려고 삽으로 흙을 헤집었더니 도롱뇽이 나왔네요. 예전엔 징그러워서 멀리했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좀 귀여운것 같기도 하네요. 2019. 1. 5.
반응형